천문학 별자리 계절별 별자리 알아보려고 한다. 우리나라는 4계절로 봄, 여름, 가을, 겨울을 보내고 있다. 우선 봄의 대한 별자리를 알아보도록 하겠다. 봄의 별자리는 왕관자리, 큰 곰자리, 사냥개자리, 작은 곰자리, 머리털 자리, 살쾡이자리, 바다뱀자리, 목동자리, 처녀자리, 사자자리, 목자자리 등이 있다. 이 가운데 1 등성은 사자자리의 레굴루스, 목자자리의 아르쿠투루스, 처녀자리의 스피카가 있다. 북두칠성의 국자 머리 끝의 두 별 알파와 베타를 이어서 알파 쪽으로 그 간경의 약 5배를 연장하면 북극성과 마주치는 것은 잘 알려져 있으며, 반대쪽으로 약 5배를 연장하면서 사자자리가 나타난다. 또 북두칠성의 자루 끝을 길게 연장하면 목자자리의 1 등성 아르크투루스와 마주치고, 이 선을 지평선 쪼고으로 연장하면 처녀자리의 스피카에 이른다. 아르크투루스, 스피카, 사자자리 데네볼라는 커다란 정삼각형을 이루는데 이것이 "봄의 대삼각형"이다. 여름의 별자리는 백조자리, 거문고자리, 헤라클레스 자리, 뱀자리, 땅군 자리, 방패 자리, 독수리자리, 백조자리 등이 있다. 이 여름 계절에는 은하수가 남쪽으로부터 천정을 지나서 북동쪽에 걸리고, 그 속의 별들은 칠월칠석의 전설로 우리에게 매우 친숙한 것들이다. 1 등성으로는 거문고자리의 직녀성(베가), 독수리자리의 견우성(알타이르), 백조자리의 데네브, 전갈자리의 안타레스 등이 있다. 직녀성은 여름철에 천정 근처에서 쉽게 찾을 수 있다. 직녀성에서 은하수를 사이에 두고 약간 남쪽으로 견우성이 있으며, 견우직녀 데네브의 세 1 등성이 삼각형을 만드는데, 이를 "여름의 대삼각형"이라고 한다. 7,8월경에 남쪽 하늘에 낮게 보이는 붉은 별 안타레스가 있는 전갈자리도 비교적 쉽게 찾을 수 있는 별자리다. 다음으로는 가을 별자리다. 가을에는 남쪽 물고리 자리, 페가수스자리, 삼각형자리, 고래자리, 도마뱀자리, 페가 세우스 자리, 안드로메다 자리, 조랑말자리 등 있다. 이 가운데 페가수스의 사각형은 그 형태가 뚜렷하여 부근의 별자리를 찾는 좋은 길잡이가 된다. 1 등성은 남쪽 물고기자리의 포말하우트뿐이다. 밝은 별이 많ㅇ지 않은 가을철에는 W자 모양의 카시오페이아를 이용하여 다른 별자리를 찾을 수 있다. 북극성과 카이오 페이아, 즉 W자의 오른쪽 끝 별을 이어 북극성의 반대방향으로 연장하면 안드로메다 자기가 나타난다. 이별은 페가수스자리의 3병과 더불어 "패가 수스 사각형"을 이룬다. 다음은 마지막으로 겨울 별자리다. 겨울에 보이는 별자리는 페르세우스자리, 마차부자리, 황소자리, 오리온자리, 쌍둥이자리, 작은 개자리, 큰 개자리, 고물자리, 용골자리 등이 있다. 이중 마차부자리와 오리온자리 그리고 쌍둥이, 큰 개, 황소자리 등은 그 형태를 뚜렷하고 밝은 별들을 가지고 이씨어 비교적 찾기 쉬운 것을 이다. 은하수를 따라 밝은 별들이 많이 있다. 1 등성은 마차부자리의 카펠라, 황소자리의 알데바란, 오리온자리의 베텔기우스와 리겔, 쌍둥이자리의 폴룩스와 작은 개자리의 프로키온, 큰 개자리의 시리우스, 용골자리의 카노푸스 등으로 4계절 중 가장 많은 1 등성을 볼 수 있다. 겨울철 별자리 중심은 단연 오리온자리다. 1월 2월경 천구의 적도에 걸린 오리온자리에서 가운데 3병은 비슷한 밝기의 2 등성이 거의 같은 간격으로 일직선으로 늘어서 있다. 이렇게 4계절의 별자리를 알아보았다. 계절에 따라 별자리도 바뀌고 있으니 생각하며 한 번쯤은 찾아보는 것도 좋은 추억이 될 듯하다.
'천문학의 우주' 카테고리의 다른 글
천문학 별자리 까마귀자리의 유래 (0) | 2020.04.25 |
---|---|
천문학 별자리 독수리자리의 모든것 (0) | 2020.04.25 |
천문학 별자리 사수자리 궁수자리 유래 (0) | 2020.04.25 |
천문학 별자리 거문고자리 유래 (0) | 2020.04.25 |
천문학 별자리 물고기자리 유래 (0) | 2020.04.25 |